▶ 특징 ; 습(濕)체질, 얼굴이 둥글고 살이 찐 비만 인은 우측으로 거의 음실증이다. 복부에 살이 많고 누르면 아픈 곳이 거의 없으며 상복부가 싸늘한 것이 특징이 다.남녀 공통으로 온다.
▶체 형 ; 토형인(土型人), 얼굴이 둥글며 뚱뚱하다. 목이 짧고, 상체가 발달되어 있으며 하체(다리)는 약하고 짧다.
▶ 혈액형 ; AB형, O형, A형.
▶ 성 격 *장점 - 말이 없고 점잖으며 마음이 넓어 바다와 같다. 말은 없으나 속으로는 계획하고 실천에 옮긴다. 한번 시작하면 끝장을 보는 지구력이 있으며 무게가 있고 끝까지 자기 주장을 밀고 나간다, 인내심과 끈질긴 노력가로 성공한 사람이 많다. *단점 - 고집이 세고 편협하며 겉과 속이 다르다. 재치가 없고 생각하는데 시간이 걸린다. 무모하고 우둔하며 욕심이 많다.
▶ 장부의 기능 *실한 장부 - 비(脾), 폐(肺), 심(心), 심포(心包), 방광(膀胱), 담 (膽). *허한 장부 - 위(胃), 대장(大腸), 소장(小腸), 삼초(三焦), 신(腎), 간(肝).
▶ 질병 *초기 - 식욕이 왕성하고 소화가 잘되며 기운이 세고 성격이 원만하며 건강하여 질병이 없다. 선천적으로 색맹이나 간질은 음실증(간허)에서 온다. *중기 - 몸이 무겁고 시력이 감퇴되며 정력감퇴가 타 체질에 비하여 빨리 온다. 안구건조증, 후두통, 당뇨, 탈모증, 습진, 다면증(잠이 많이 온다), 비만, 야맹증, 건망증, 신허요통, ... *말기 - 고혈압, 지방간, 고지혈증, 퇴행성관절염, 백내장, 녹내장, 기관지천식, 협심증, 동맥경화, 각기 부종, 전신 불수 등이 온다.
▶ 계절 - 여름을 많이 타고 환절기에 악화됨. 습이 많아 흐린 날 이나 비가 오면 관절통을 일으킴.
▶ 기맥요법 *초기 - 자각증상이나 질병이 거의 없으므로 건강에 대한 경각심이 없으나 지나친 식욕은 비실(脾實 = 비장의 기능항진으로 소화효소가 많이 분비됨)로써 신장이나 간장의 기능이 저하되어 성인병이 올 가능성이 많으므로 미리 비승방 + 위정방을 쓰고, 우수(右手) 중지에 은반지를 항 상 끼워주면 비만방지와 각종 증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. *중기 - 40대 후반에 정력이 감퇴되거나 몸이 무겁고 시력이 약 화되며, 신장의 기능이 저하되어 혈액 속에 수분이 부족하여 혈압이 높아지고 각종 성인병이 오므로 신정방 + 방광승방 + 심승방을 쓴다. *말기에는 간정방 + 담승방 + 위정방 + 소장정방을 쓴다. 말기에 는 장기간 3~6개월 치료해야 된다. *전체 통치방은 비승방 + 신정방 + 해당 상응점 *음증, 양증으로 나누어 음증에는 비승방 + 신정방을 쓰며, 양증에는 방광승방 + 위정방을 쓴다. * 팔성혈 요혈 - 양증 : M31사, L4보 음증 : J2사, C8보 *기본방 - A1,3,6,8,12,16,18,33,F19,N17,C1,B19,24에 다침(多針),I10,11,12,15,16. 서암뜸 - A1,4,6,8,12,F19,C1. ※ 음실증은 거의 우측에 오므로 위의 처방은 우수 3,4,5지에만 한 다. 이 체질에 따른 기맥요법은 체질을 확실하게 구별한 다음에 하는 것 이 중요하므로 여러 차례 반복해 보거나 전문가에게 체질을 감별해 보는 것도 좋다. 처방은 증상이 해소될 때까지 꾸준히 지속적으로 하면 반드시 효과를 볼 수 있고 만성병은 뜸요법과 반지요법을 병행한다. 모든 체질이 초기에 치료하면 중기나 말기에 오는 질병이 예방이 되고 건강할 수 있지만 악화되면 난치이며 말기에는 6 ~ 10개월 치료해야 한다.
▶식이요법 *이로운 음식 - 쌀, 현미, 콩, 찹쌀, 수수, 땅콩, 검은 콩, 더덕, 연근, 마, 우엉, 시금치, 부추, 미역, 김, 다시마, 닭고기, 돼지고기, 수박, 밤, 호도, 귤, 은행, 구연산, 갈근, 비타민A, B, C, D, 맥주, 소주, 녹차, 열무, 당근, 솔잎, 어패류, 등등 *해로운 음식 - 모밀, 흰 밀가루, 쵸콜렛, 흰 설탕, 옥수수, 쇠고기, 파, 양파, 생강, 단맛...
|